기타

VMWare로 Fedora 설치하기 04

시반 2007. 3. 13. 03:59

6. TELNET 설정하기

 

흐음 외부에서 연결도 되는거 확인했겠다.이제 텔넷으로 접속이나 해볼까?

....

허걱 연결을 할수 없단다..

 

telnet: connect to address 아이피: Connection refused
telnet: Unable to connect to remote host: Connection refused

 

guest OS(Fedora)에서 telnet localhost를 해보기로 했다

잉? 역시 연결이 안되네?

처음 설치시 서버 선택에서 FTP와 WEB서버는 선택사양이었기때문에

telnet 서버는 디폴트로 설치되나 생각했었는데

확인해봐야겠다.

 

rpm -qa |grep telnet으로 설치 되어있는지를 확인해보았다


[root@localhost xinetd.d]# rpm -qa | grep telnet
telnet-0.17-37   => 텔넷 클라이언트 프로그램

흐음 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지만 텔넷 클라이언트만 있었다.

 

[root@localhost xinetd.d]# rpm -ql telnet
/usr/bin/telnet    => telnet 클라이언트 실행파일
/usr/share/man/man1/telnet.1.gz  => telnet man 파일

 

[root@localhost xinetd.d]# rpm -qi telnet
Summary     : 텔넷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을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.
Description :
텔넷은 인터넷상에서 원격지의 시스템에 로그인 하기위한 일반적인 프로토콜이다.
텔넷패키지는 텔넷클라이언트 명령라인을 제공한다.

 

모든 응용프로그램>시스템>Add/Remove Software를 선택하여

패키지를 설치할수 있다.

 

나의 경우는 cd에서 직접설치하기로 했다.

RPMS 디렉토리에서 telnet-server-0.17-37,i386.rpm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한후 설치를 진행해보았다

 

[root@localhost RPMS]# rpm -ivh telnet-server-0.17-37,i386.rpm

 

허걱 또 한번의 놀라운 일이...xinetd도 설치가 안되어 있기에 설치오류가 발생하고 말았다...

흐응..역시 하나하나 설치해보니 놀라운일이 많다.

난 당연히 xinetd는 기본설치되는 줄로만 알았는데 역시 난 왕초보리눅서...

 

먼저 xinetd를 설치한후 다시 진행해보았다

 


[root@localhost RPMS]# rpm -ql telnet-server
/etc/xinetd.d/telnet   => telnet 서버 설정 파일
/usr/sbin/in.telnetd   => telnet 서버 실행파일
/usr/share/man/man5/issue.net.5.gz  => man 페이지
/usr/share/man/man8/in.telnetd.8.gz
/usr/share/man/man8/telnetd.8.gz

 

[root@localhost RPMS]# rpm -qi telnet-server
Summary     : 텔넷 원격 로그인 프로토콜을 위한 서버 프로그램.
Description :
텔넷은 인터넷상에서 원격지의 시스템에 로그인 하기위한 일반적인 프로토콜이다.
텔넷 서버 패키지는 원격에서 호스트 컴퓨터로 로그인 할수 있도록 텔넷 데몬을 포함한다.
텔넷 데몬의 기본값은 enabled 이다. 텔넷 데몬을 정지시키려면 /etc/xinetd.d/telnet 파일을 편집해야한다.


]# man telnet
telnet TELNET 프로토콜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
설명
     telnet 명령은 TELNET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다른 호스트에 접속하고,

     그 호스트를 사용하는데 사용된다. 만약, telnet 명령을 실행할 때, 호스트 인자를

     지정하지 않으면, (telnet>) 이라는 프롬프트가 나타나고,
     이때부터, telne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. 

     이 모드에서는 다음에서 설명할 명령들을 입력하고, 그것을 실행한다. 

     한편, 호스트 인자가 사용되면, 그 ss호스트를 대상으로 open 명령이 실행된다.

옵션:
     -l      사용자ID
             리모트 시스템에 접속을 할 때, 리모트 시스템에서 ENVIRON 옵션을
             사용한다면, username 프롬프트에 입력할 사용자ID를 USER
             환경변수값으로 사용한다.  이 옵션은 -a 옵션을 포함한다.  또한,
             open 명령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.

     호스트  접속할 호스트. 인터넷 주소형식으로 사용된다.

     포트    접속에 이용할 호스트의 포트. 지정되지 않으면, telnet 에서
             사용되는 초기값이 사용된다.(23번)

     quit     리모트 호스트와의 접속을 끊고, telnet 을 마친다.  ctrl +D

 

이제 설치되어 있는 것까지 확인을 했으니

서비스를 구동해야 겠다.

 

vi /etc/xinetd.d/telnet

# default: on
# description: The telnet server serves telnet sessions; it uses \
#       unencrypted username/password pairs for authentication.
service telnet
{
        flags           = REUSE
        socket_type     = stream
        wait            = no
        user            = root
        server          = /usr/sbin/in.telnetd
        log_on_failure  += USERID

        disable = no  => no : telnet을 사용함, yes : telnet을 사용안함
}

 

먼저 /etc/xinetd.d/telnet 파일의 disable을 no으로 바꾼 후 xinetd를  재실행한다.

 

[root@localhost sbin]# service xinetd restart
xinetd 를 정지함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  확인  ]
xinetd (을)를 시작합니다: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  확인  ]

[root@localhost sbin]# netstat -atp
Active Internet connections (servers and established)
Proto Recv-Q Send-Q Local Address           Foreign Address         State       PID/Program name  
.....

tcp        0      0 *:telnet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:*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LISTEN      -

...

 

이제 텔넷서버도 설치하고 xinetd 설정도 마쳤으니 telnet접속이 가능할터

또한번 자신있게 텔넷접속을 시도했다

 

Trying xxx.xxx.xxx.xxx...

Connected to xxx.xxx.xxx.xxx(xxx.xxx.xxx)

Escape characer is '^]'.

....

Name or service not known:Illegal seeek

...

 

oTL... 갈길이 멀다.. 알고보니 방화벽에서 텔넷이 막혀있었다. 풀어주고

접속을 하니 이제야 성공...

 

Host OS(winxp)에서 guest OS(Fedora)로 텔넷접속을 시도해보았다

*^^* .. 성공...

 

좌충우돌.. 여기저기 실패는많았지만 결국 원격으로 vmware 가상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되었다.